본문 바로가기
생활팁

스미싱 문자 누르기만해도 피해, 100% 차단법

by 키스톤1 2024. 6. 21.
반응형

 

현대 사회에서 스마트폰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다양한 편리함이 제공되지만, 그만큼 위험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스미싱(Smishing) 문자입니다. 이 글에서는 스미싱 문자 뜻, 대표적인 피해 사례, 스미싱 문자를 100% 차단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미싱 문자 뜻

스미싱(Smishing)이란 'SMS(Short Message Service)'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입니다. 피싱은 이메일 등을 통해 개인 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을 의미하는데, 스미싱은 이를 문자 메시지로 확장한 형태입니다. 즉, 스미싱은 문자 메시지를 통해 악의적인 링크를 전송하고, 이를 클릭하여 악성 앱이 설치되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금전적인 피해를 입히는 수법입니다.

 

스미싱의 유래는 피싱과 마찬가지로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이 급증하면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사기 수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단순히 링크를 클릭하게 유도하여 악성 코드를 설치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더욱 정교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출처 : YTN >


대표적 피해 사례

 

스미싱은 2000년대 초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초기에는 간단한 문구와 낮은 기술로 이루어져 비교적 쉽게 식별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정교한 문구, 사실적인 웹사이트 디자인, 개인정보 악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피해를 입히고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몇 가지 사례입니다.

 

택배 사칭 스미싱

사용자가 택배를 기다리고 있을 때, 택배사에서 보낸 것처럼 위장한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입니다. "배송 조회를 위해 링크를 클릭하세요"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클릭하면 악성 앱이 설치되거나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 사칭 스미싱

은행이나 카드사 등을 사칭하여 "계좌 이상 거래 감지, 확인을 위해 링크를 클릭하세요"라는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입니다.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여 정보를 입력하면, 금융정보가 탈취되어 금전적인 피해를 입게 됩니다.

 

이벤트 당첨 스미싱

"축하합니다! 이벤트에 당첨되었습니다. 상품 수령을 위해 링크를 클릭하세요"라는 내용으로 사용자를 유혹합니다.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악성 코드가 설치되거나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 출처 : 조선일보 >


차단법(시티즌코난 앱 설치)

시티즌코난경찰과 민간업체가 개발 및 공동 운영하는 피싱 예방 앱입니다. 이 앱을 설치하면 진단을 통해 악성 보이스피싱 앱과 원격 제어 앱을 실기간 탐지하고 즉시 제거해줍니다. 

 

 

✅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시티즌코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시티즌코난 - 피싱아이즈 폴리스, 보이스피싱, 스미싱 - Google Play 앱

시티즌코난 - 일선 경찰관을 위한 보이스피싱 악성 앱 순간 탐지기(구 피싱아이즈 폴리스)로서 피싱아이즈와 함께 운영되고 있습니다.

play.google.com


차단법(보안 위험 자동 차단)

갤럭시 One UI 6버전일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휴대폰 설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보안 위험 자동 차단 > 사용 중으로 활성화하면 됩니다. 이 설정을 하면 인증되지 않은 출처의 앱 차단, 앱 보안 확인 기능 켜기, USB 케이블로 전달되는 명령을 완벽 차단할 수 있습니다. One UI 6버전이 지원되는 기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상으로 스미싱 문자 뜻과 100% 차단법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스미싱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이며, 피해를 입으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스미싱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추고, 주의해야 할 유형을 인지하며, 차단 방법을 숙지하여 피해를 예방해야 합니다. 오늘은 보안 위험에 취약한 우리 부모님 핸드폰에 꼭 보안설정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스미싱 피해는 예방만이 최선의 해결책입니다!

반응형